두눈프로젝트-손톱의운명?인연을만나다!
국현 “광장” 관람료 4천원, 하루 전시 대가 250원?<두눈체-창작대가기준> 본문
국립현대미술관 “광장:미술과 사회 1900-2019" 하루 전시 대가 250원?
<두눈체-창작대가기준> 합당한 기준이 세워지길 바라며
시각예술가 대부분은 창발적인 작품을 하고자 자발적인 창작 노동을 하고 생산된 결과물을 전시한다. 이를 통해 소유하지 않아도 누릴 수 있는 정신적 가치를 나누면서 창작자의 삶에 큰 힘이 되는 소장자도 생기길 바란다. 하지만 오리지널 작품 판매는 잘 이루어지지 않아 생계를 위해 노동의 대가를 바로 주는 일도 해 가며 창작 활동을 지속한다.
공공 미술관은 작품 판매의 목적 보다는 작품의 의미를 포함한 정신적 가치를 공유하는데 중점을 둔다. 그러므로 더욱 미술관은 정신적 가치를 생산하는 작가들을 존중하고 창작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합당한 전시 대가를 지급 해야 할진대, 국공립 미술관이나 비엔날레급 전시 예산에는 대부분 저작권료와 같은 작가비는 반영하지 않는다. 그래도 권위 있는 전시이기에 작가 대부분이 대가가 없어도 출품한다.
양철모 작가는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 국립현대미술관 50주년 기념전에 출품 요청을 받아 전시참여 비용을 물으니 0원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국현에 문제를 제기 하니 다섯달 전시에 약 4만원을 지급한다는 답변을 받고 계산 해 보니 하루 250원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과감히 출품을 거부했다는 기사를 보았다. 권위의 힘에 저항해 공론화시킨 양철모 작가에게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이글을 쓰다 보니 이런 문제에 앞서 저항한 김창겸 작가가 떠올랐다. 2004년 광주비엔날레 전시 준비 경비 7만 원을 감독에게 요구했다가 지급되지 않아 결국 전시를 포기했다.)
원래는 한 푼도 작가에게 지급되지 않다가 올해 초 문체부에서 미술 창작자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창작 대가 기준이 마련되어 산출한 금액이라고 한다. 제도권 최상의 미술관에서 유료전시회(4천원) 조차 창작자는 이런 대우를 받는 것이다.
전시를 해도 수입이 없으니 보상심리가 작품 가격을 높이고 작품을 판매할 수 있는 상업 갤러리에서는 판매금을 보통 5:5로 나누어야 하니 중저가 미술 시장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국민 소득 수준이 올라가지 않는 한 구매층이 제한적이라 창작 노동 만으로 살아가기 버거운 것이 현실이다.
합당한 창작 대가 기준을 세우면,
창작자는 판매 목적의 상품 생산보다는
창발적 작품 생산을 지속할 수 있다.
그리하여 그 작품이 상품이 되었을 때,
또 다른 창발적 노동을 가능케 한다.
-지구에 온 지 42년 두눈 소리-
국회 문체부 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의원이 이 문제를 제기하였고 관계 장들은 개선하겠다는 답변을 했다.
그러고보니 국현이 50주년을 맞아 기획한 <광장: 미술과 사회> 전으로 벌어진 창작 대가 해프닝은 의도한 것처럼 주제와 맞아떨어진다. 현 사회에 미술인의 현실을 광장에서 강력하게 외친 것과 다름없다.
12월 19일 예술가의 집에서 창작 대가 기준을 다시 세우기 위한 공개토론이 열린다고 한다. 이번 전시가 끝나기 전에 합당한 창작 대가 기준이 마련되어 더더욱 의미 있는 전시가 되면 좋겠다.
야만적인 자본주의 사회는 성장이란 미명아래 유한한 물질의 풍요로움이 행복의 척도로 느껴지게 하지만, 물질적 풍요로움이 주는 행복은 한계가 있고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킨다. 그러나 무한히 나눌 수 있는 예술의 정신적 가치는 나눌수록 배가된다. 부디 물질과 정신이 조화로운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창작 노동과 정신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개선되었으면 한다._실천예술가 두눈
오마이뉴스에도 올렸는데 기사로 선정이 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기자로의 첫 데뷔이네요.
보시고 마음이 동하시면 좋아요와 추천눌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두눈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눈체 작업 첫 계약한 날에 (0) | 2019.12.04 |
---|---|
첫 기사화 된 대가 이천원 / 홍콩은 투표장에서 수개표한다! (0) | 2019.11.27 |
두눈체-기본소득 (0) | 2019.11.12 |
두눈체 - 자유 (0) | 2019.10.22 |
구구 기부의 날 실천 - 중학생에게 자유창작시간을 허하자! 그리고 배수로 덮개 (0) | 2019.09.08 |